Next.js 환경에서 각 Route 별 번들 사이즈를 Github PR 코멘트, 이슈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공유합니다.
번들 사이즈란?
우리가 만든 서비스의 번들 사이즈를 확인하기 전에, 번들 사이즈는 무엇일까요?
우리가 만든 서비스가 더욱 빠르고, 원활하게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지표 중 하나로써 자바스크립트 코드의 크기
를 뜻해요.
즉 코드의 크기(용량)가 작을수록 사용자가 다운로드받아야 할 용량이 줄어들어 빠르게 실행될 수 있는 것이에요.
물론 성능을 논할 때 번들 사이즈 외에도 중요한 것은 많이 있어요. 관련해 더욱 알아보고 싶으신 분들은 yceffort님의 글을 추천해 드려요.
번들 사이즈를 확인하는 방법
Webpack을 사용하는 환경에서는 webpack-bundle-analyzer를 사용해 번들 사이즈를 확인할 수 있어요.
그리고 Next.js 환경에서는 webpack-bundle-analyzer를 이용한 @next/bundle-analyzer를 사용해 번들 사이즈를 확인할 수 있어요.
출처 : https://github.com/josselinbuils/next-bundle-analyzer
위 방법을 이용해 모든 청크들을 어떤 모듈들로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어요.
자세히 보기 위해서는 좋은 방법이지만, 따로 커맨드로 실행해서 브라우저에서 확인해야 한다는 점이 번거로울 수도 있다고 생각되었어요.
CI 단계에서 확인하기
이런 번거로움을 Pull request 시에 번들 사이즈가 얼마나 달라졌으며, 현재 main 브랜치의 번들 사이즈가 얼마인지 Github의 Issue로 보여주는 방법으로 덜어주는 Github actions 도구가 있는데요.
이름은 actions-next-bundle-analyzer에요.
Next.js 환경의 build 결과물을 통해 next-bundle-analyzer
를 사용해 계산한 값을 아래와 같이 보여줘요.
Pull request에서
Issue에서 (base branch 값)
적용하는 방법
Github actions를 이용해 간단히 적용할 수 있고, 방법은 아래와 같아요.
name: CI
on:
push:
branches:
- main
pull_request:
brances:
- main
- something
jobs:
run-bundle-analysis:
runs-on: ubuntu-latest
steps:
- name: Checkout
uses: actions/checkout@v2
- name: Install dependencies
run: yarn
- name: Build
run: yarn build
- name: Analyze bundle sizes
uses: transferwise/actions-next-bundle-analyzer@master
with:
workflow-id: CI.yml
base-branch: main
env:
GITHUB_TOKEN: ${{ secrets.GITHUB_TOKEN }}
dependency 파일들과 build 결과물을 캐싱하여 다른 job 들의 속도를 높일 수 있겠지만, 가장 간단한 형태는 위의 모습이 될 거 같아요.
기본적인 작성 방법은 Github의 공식 문서를 확인해 주시는 것이 더욱 정확할 것이라 생각해, actions-next-bundle-analyzer
작성 부분을 설명드리며 글을 마쳐보려 해요.
- name: Analyze bundle sizes
uses: transferwise/actions-next-bundle-analyzer@master
with:
workflow-id: CI.yml
base-branch: main
env:
GITHUB_TOKEN: ${{ secrets.GITHUB_TOKEN }}
작성하는 workflow의 파일명을 작성해 주시면 돼요.
- name: Analyze bundle sizes
uses: transferwise/actions-next-bundle-analyzer@master
with:
workflow-id: CI.yml
base-branch: main
env:
GITHUB_TOKEN: ${{ secrets.GITHUB_TOKEN }}
optional 값으로써, base branch 이름을 적어주시면 돼요. default 값은 master예요.
- name: Analyze bundle sizes
uses: transferwise/actions-next-bundle-analyzer@master
with:
workflow-id: CI.yml
base-branch: main
env:
GITHUB_TOKEN: ${{ secrets.GITHUB_TOKEN }}
Github PR에 코멘트를 남기고, Issue를 생성하기 위한 Token을 전달하는 과정으로 따로 Github Secrets
에 값을 작성해 주시지 않아도 돼요.
추가적으로 사용하지 않은 옵션이 하나 더 있는데요.
- name: Analyze bundle sizes
uses: transferwise/actions-next-bundle-analyzer@master
with:
workflow-id: CI.yml
base-branch: main
working-directory: /packages/something
env:
GITHUB_TOKEN: ${{ secrets.GITHUB_TOKEN }}
빌드 결과물을 찾을 위치를 지정하는 옵션이에요. 기본값은 cwd
로써 모노레포와 같은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은 옵션이에요.
마치며
위 도구를 적용해 Route 별 번들 사이즈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었고, Dynamic import를 한 부분도 따로 알려주어 추가적인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게 되었어요.
번들 사이즈가 지나치게 큰 Route는 없는지 간단하게 확인 후 bundle-analyzer
를 이용해 자세히 확인하는 방법 등을 통해 번들 사이즈 다이어트에 다들 성공하시기 바라는 마음으로 글을 맞춰보도록 할게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는 kooku 님의 적용 사례를 보고 해당 도구를 알게 되었어요. 많은 인사이트를 주신 kooku 님에게 감사 인사드려요!
부록, 라이브러리 번들 사이즈 확인하기
번들 사이즈에 많은 영향을 끼치는 것이 라이브러리의 크기인데요.
bundlephobia에서 라이브러리 이름과 버전에 따른 번들 사이즈를 확인할 수 있으니 라이브러리 선택의 지표 중 하나로 사용하실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