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터디 진행 내용은 다음 주소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읽게 된 계기
유명 개발자분부터 주변 개발자까지 추천을 하는 책이였고, 마침 다음 기술 서적 스터디를 진행할 책을 정해야했을 시기라 읽게 되었다.
그리고 은탄환은 없는 것을 알지만, 테스트를 작성할 때 모킹, 스텁에 고통받던 나를 구제할 방법이 있지 않을까 기대감을 가졌던 것은 사실이다.
읽은 후 느낀 점
'좋은' 단위 테스트를 작성하는 간단한 규격과 방법론을 알 수 있었지만, 이 책에서 얻어가는 제일 좋은 것은 '좋은' 소프트웨어를 작성하는 방법이지 않을까 싶다.
테스트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테스트하기 쉬운 코드를 작성해 내야하고, 이는 '좋은' 소프트웨어에 조금 가깝거나 비슷한 길이지 않을까 생각한다.
부족했던 소프트웨어 공학적 개념을 조금이나마 구체화하며 심적 표상을 잡을 수 있었기도 했고,
테스트에 대해서만 다루는 것이 아닌 선배 개발자가 말하는 협업 관점에서의 인문학적인 이야기도 조금은 있어서 재미있게 보았다.
스터디는 진행 방식이 조금 고착화되었다고 생각되는데, 더 나은 방법이 있을까 고민된다.